콘텐츠로 바로가기

영월군 농업인들의 꿈과 희망!

도시보다 잘사는 행복한 농촌을 만들어가겠습니다.

친환경농업관리

Home 센터소개 시설현황 친환경농업관리

토양검정과 시비처방서 활용법

토양검정절차

  1. 토양시료채취(의뢰인)
    다음 절차
  2. 토양검정 접수
    다음 절차
  3. 토양시료 건조 및 조제
    다음 절차
  4. 토양정밀검정
    다음 절차
  5. 토양결과서 작성
    다음 절차
  6. 우편발송

토양시료채취

시료채취 시기 : 비료주기 전(보통 작기와 작기 사이)

시료채취 시기 안내이미지

  • 토양시료 채취는 작물의 생육 후기나 수확 직후가 바람직하나 한 해 몇번 작물을 재배할 경우에는 시비 전에 채취하는 것이 좋음
시료채취 부위의 선정

토양시표 채취부위 선전방법1,2이미지

시료채취 방법
  • 시료채취량 : 1 ∼ 2Kg
    여러 지점에서 채취한 시료를 1봉지로 만듦(균일혼합시료)
  • (A)와 같이 흙덩이를 파낸 후 (B)와 같이 그 옆 단면 채취함
    흙덩어리를 파낸후 그 옆단면 채취함을 나타내는 이미지
  • 논·밭은 15㎝ 깊이, 과수원은 30~40㎝ 깊이로 채취
    밭토양에서의 토양채치방법, 과수원에서의 토양체취 방법 안내이미지
  • 경사지 밭은 세부분으로 나누어 채취
    경사지 밭은 세부분으로 나누어 채취 안내이미지
시료채취 주의사항
  • 깨끗한 시료채취 도구 사용
  • 오염되지 않은 깨끗한 봉투 사용
  • 토양을 채취하기 가장 좋은 부분 - 뿌리가 많이 있는 곳
  • 동일 포장이라도 생육상태가 상이할 때는 별도의 시료로 채취함
  • 각 시료봉투에 의뢰자 성명, 채취장소(지번), 면적, 작목, 연락처 등 기입
작물별 시비기준 활용시 유의사항
  • 작물의 생육은 토양비옥도 이외에도 작물의 품종, 재배법, 기상 등 여러 요인에 의하여 크게 좌우되므로 작물의 양분 요구도 및 토양의 물리·화학성을 기준하여 시비량 추천을 하여도 요인에 따라 생산력이 다를 수 있음
  • 질소는 같은 토양조건이라도 각 작물의 생육 및 병해충의 상습적인 발생상황, 농민의 경험 및 작황에 따라 질소를 10∼30% 범위에서 가감 조절 시용함
  • 인산과 칼리 시비추천량이 시비추천식에 의하여 0∼3kg/10a이하일 때는 최소시비량으로서 3kg/10a를 시용하거나 무비재배함
  • 규산질비료 및 석회질비료 시용량이 300kg/10a 이상일 경우에는 작물의 생육장해가 우려되므로 초과 시용량은 다음해에 시용함
  • 유기물원으로 양질의 볏짚퇴구비 대신 가축분퇴비 및 가축분구비를 시용할 경우 우분톱밥퇴비는 볏짚퇴비와 동일량, 돈분톱밥퇴비는 볏짚퇴비 시용량의 22% 해당량, 계분톱밥퇴비는 볏짚퇴비 시용량의 17% 해당량을 시용함
  • 유기물(퇴구비, 가축분퇴비), 규산질비료, 석회질비료 등 개량제는 경운 전에 시용하여 작토와 잘 혼합해 줌
  • 기타 심경, 객토시에는 3요소 비료를 10∼20% 증비하고 표준량 이상의 가축분퇴비를 시용할 때는 3요소 비료를 절감함
  • 작물별 표준시비량을 적용할 경우는 양분의 축적상태(재배경력)에 따라 다음과 같이 가감 조절해 줌
    • 양분부족 : 10~20% 증시
    • 양분보통 : 표준시비량 적용
    • 양분과다 : 20~30% 절감

담당부서 정보

최종수정일 : 2018.1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