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연사업
흡연의 예방과 흡연자의 금연 및 금연 환경조성을 통하여 주민 건강증진과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함
- 간접흡연 없는 환경 (smoke-free) 조성
- 금연 캠페인 : 지역 내 행사 연계 금연 캠페인 운영
- 흡연 예방 및 교육
- 보건소 금연 클리닉 및 찾아가는 이동금연 클리닉 운영
보건소 금연 클리닉 및 찾아가는 이동금연 클리닉 - 보건소 금연 클리닉 및 찾아가는 이동금연 클리닉 정보제공
보건소 금연클리닉
찾아가는 이동 금연클리닉
- 연중 (월~금요일, 09:00~18:00)
- 6개월 개별 맞춤상담 서비스 및 추후관리
- 니코틴의존도 및 Co 측정
- 니코틴 보조제, 행동 강화물품 제공
- 약처방 및 금연 침 시술
- 금연 성공자 기념품 제공
- 대상 : 관내 공공기관 및 사업체(단체)
※단, 4인 이상
- 운영기간: 연중
- 내용 : 보건소 금연클리닉과 동일
문의처: 보건소 금연클리닉 (☎ 033-370-5477)
금연 준비하기
- 금연일을 결정하고 달력에 표시
- 가족, 친구들에게 언제부터 금연할 것이라고 알림
- 금연은 서서히 줄이는것이 아니라 즉시 금연
- 금연일에는 담배를 생각나게 하는 모든 것을 없앰 (담배, 라이터, 성냥, 재털이)
- 담배 생각이 간절할 때
- 심호흡을 천천히 10회 하며, 물을 1~2컵 마신다.
- 시계를 보면서 일분 동안 담배를 참는다.
- 밖으로 나가서 활기 있게 걷는다.
- 물, 녹차를 마신다.
- 가까운 사람과 전화통화를 한다.
- 샤워나 목욕을 한다.
금연 실행하기
금단증상 극복법
- 기침 : 물을 마시거나 따뜻한 녹차 한모금을 마신다.
- 따끔따금 쑤시는 느낌 : 따뜻한 물로 목욕을 한다.
- 공복감 : 물이나 열량이 적은 무가당 음료를 마신다.
- 불안과 신경질 : 심호흡을 한다. 걷거나 가벼운 체조를 한다.
- 두통, 가벼운 현기증 : 따뜻한 물에 발을 담근다. 5분간 편하게 누워본다.
- 소화불량 : 맵고 짠 음식을 피한다.
- 우울증 : 유산소 운동을 하거나 따뜻한 물로 목욕을 한다.
금연 유지하기
금연 초기에는 회식 자리를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하지만 불가피한 회식자리가 있을 때는 다음과 같이 해보세요.
술자리 흡연 유혹 극복법
- '아니오' 라고 말한다.
- "죄송합니다만 저는 피우지 않습니다." 라고 분명하게 답한다.
- 담배를 권하는 사람에게 금연할 것을 권한다.
- "저는 오늘로 6일째 금연하고 있습니다. 같이 금연하시죠. 아주 좋습니다." 하고 운을 땐다.
- 약을 먹는다고 말한다.
- 담배를 권해오거나, 왜 담배를 피우지 않느냐고 재차 물어오면 건강 때문이라고 대답한다.
- 대화 주제를 바꾼다.
- 최근에 본 텔레비젼 프로그램을 화제로 삼거나 사회적인 이슈에 대한 얘기를 꺼내도 좋다.
- 그 자리를 떠난다.
- 계속 담배를 권하거나 담배를 피우면 자리를 떠난다.
- 더 좋은 다른 것을 권한다.
- "술은 다음에 하고 오늘은 차나 한 잔 하는게 어때?" 라고 말하면서 더 좋은 다른것을 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