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바로가기

영월에 가면 행복이 흐른다

역사/문화

강/계곡/폭포

Home 관광명소 강/계곡/폭포
동강할미꽃서식지
동강할미꽃서식지 1 이미지
동강할미꽃서식지 2 이미지
동강할미꽃서식지 3 이미지
동강할미꽃서식지 4 이미지
동강할미꽃서식지 5 이미지
동강할미꽃서식지 1 이미지
동강할미꽃서식지 2 이미지
동강할미꽃서식지 3 이미지
동강할미꽃서식지 4 이미지
동강할미꽃서식지 5 이미지

상세정보

이용안내

  • 주소 :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 영월읍 문산리

소개

동강할미꽃은 세계에서 오직 단 한 곳, 우리나라 동강 유역에만 자생하는 희귀식물이다. 래프팅 출발지로 유명한 영월군 영월읍 문산리 동강 가에 가면 동강할미꽃을 볼 수 있다.

문산교 서단 북쪽 강변에 핀 동강할미꽃은 영월군농업기술센터에서 서식지를 늘리기 위해 심은 것으로, 3~4월에 꽃을 피우며 다른 할미꽃과는 달리 하늘을 향해 꽃봉오리를 터뜨리는게 특징이다.

1. 동강할미꽃
동강할미꽃은 세계에서 유일하게 우리나라에만 자생하는 식물로, 1997년 사진작가 김정명 씨가 처음 발견해 세상에 알려지게 됐다.

김정명 씨는 동강 상류 쪽, 병방산 석회암 절벽에 핀 붉은색 할미꽃을 사진으로 찍어 자신이 만든 야생화 달력에 소개했는데, 다른 할미꽃들이 고개를 숙이는 것에 비해 동강할미꽃은 고개를 들고 하늘을 우러르며 피어서 김정명 씨는 사진에 ‘하늘을 향해 꽃을 피우는 할미꽃’이라는 설명을 달았다.

그 뒤 동강할미꽃의 독특한 자태에 반한 사람들 사이에 입소문이 퍼지면서 식물학자 이영로 박사가 생태 조사를 하게 됐고, 이 박사는 이 꽃이 동강 주변의 석회암 절벽에만 자생하는 새로운 종류의 할미꽃이라는 사실을 밝혀 국제 식물학계에 알렸다.

2. 바위할미꽃

동강할미꽃은 석회암 절벽에서만 핀다고 하여 바위할매 또는 바위할미꽃이라고 불린다. 동강할미꽃은 동강 주변 석회암 절벽에서만 산다.

동강할미꽃은 미나리아재비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풀인데, 꽃은 3~4월 사이에 핀다. 보통 할미꽃은 붉은색이 지나쳐 검게 보일 정도이지만 동강할미꽃은 자주색, 홍자색, 분홍색, 흰색 등 다양한 색깔을 띠는 게 특징이다. 또 여느 할미꽃에 비해 몸체가 작은 편이다.

자생하는 곳은 동강 상류 석회암 절벽으로, 동강할미꽃은 석회암 절벽에서만 핀다고 하여 바위할매(바위할미꽃)이라고 불린다. 이곳 사람들은 석회암 절벽을 뼝대라고 부르는데, 비탈진 뼝대 사이에 한 떨기씩 혹은 한 무리씩 피어 있는 모습이 마치 얼레지꽃 같이 화사하다. 봄이면 동강할미꽃을 찍으려고 모여든 사진작가들이 바위에 사다리를 걸쳐놓고 스파이더맨처럼 착 달라붙어 있는 모습도 볼만한 광경이다.

그래서 동강할미꽃이라는 이름이 붙게 됐다. 학명학술 연구를 위하여 동식물 따위에 붙이는 이름에도 동강 이름이 들어갈 정도로 지금은 동강을 대표하는 식물로 자리 잡게 되었다.

3. 할미꽃은 호석회 식물

동강할미꽃뿐 아니라 할미꽃은 모두 호석회 식물이다. 석회질을 좋아해서 무덤가에 많이 핀다.

예전에는 산짐승들이 무덤을 파헤치지 못하도록 단단하게 만들기 위해서 시신을 묻고 회다지를 하는 풍습이 있었다. 흙과 석회가루를 고루 섞어 반죽한 뒤 그것으로 봉분흙을 둥글게 쌓아 올려 만든 무덤을 만들고 단단하게 다지는 걸 회다지라고 하는데, 그래서 할미꽃이 무덤 주위에서 잘 자라는 것이다.

게다가 할미꽃은 그늘진 자리에서는 잘 자라지 못해 양지바른 곳에 있는 무덤이 최적의 장소가 되었다.

4. 할미꽃의 꽃말과 특징

동강할미꽃의 꽃말은 슬픈 추억, 그리고 충성이다. 가파른 절벽에도 굴하지 않고 하늘을 향해 꽃을 피우는 모습이 어쩐지 충성스런 신하의 기상을 닮은 듯하다.

이 꽃말이 붙은 데에는 할미꽃에 깃든 슬픈 전설에서 연유한다. 옛날에 한 할머니가 시집간 손녀를 찾아가던 길에 힘이 다하여 그만 돌아가시고 말았는데, 손녀가 양지바른 곳에 묻어드렸더니 그 무덤가에 할미꽃이 피어났다는 이야기가 전해온다.

할미꽃에는 긴 달걀 모양의 열매가 달리는데, 익어도 터지지 않고 껍질이 씨를 싼 채 떨어진다. 독이 있는 식물이지만, 흑갈색 뿌리는 설사를 멎게 하고 학질(말라리아)과 신경통에도 좋다고 하여 병원이 드물던 예전에는 뿌리를 달여 마시거나 술을 담가먹기도 했다고 한다.

데이타 테이블 제목
이전 관광정보 칠랑이계곡
다음 관광정보 합수머리습지

지도보기

담당부서 정보

최종수정일 : 2017.1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