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브리오 콜레라균에 의한 급성세균성 장내감염증으로 노약자의 경우에는 사망하기도 하며 감염성이 매우 강하기 때문에 초기에 발견하지 못하면 크게 퍼질 가능성이 높은 감염병이다.
원인균 : 비브리오 콜레라균
감염경로 : 환자 및 보균자의 토사물, 대변 등에 의해 오염된 식수, 식기, 손, 음식물 등을 통해 감염오염된 바다의 해산물 등을 날 것으로 먹을 때 감염 우려 높음
증상 : 갑작스러운 물 같은 설사로 시작되어, 구토, 탈수증에 빠지며, 열이 없는 것이 보통 탈수 현상으로 갈증이 심하고 소변이 나오지 않음
예방수칙 : 개인위생수칙 준수 철저
물은 반드시 끓여 마시고 음식은 익혀 먹고 날 음식은 먹지 않습니다.
행주, 도마, 칼 등은 소독하여 사용하고 식기류는 끓여서 사용합니다.
위생해충을 없애고, 화장실, 하수구 등을 자주 소독하여 주위 환경을 깨끗이 하기
귀가 시 즉시 손을 깨끗이 씻도록 합니다.
일본뇌염
바이러스를 가진 모기에 의해 발병되는 감염병으로 유행시기는 7~10월이며, 그 중에서 8~9월에 전체의 약 80%가 집중적으로 발생
원인균 : 일본뇌염 바이러스
감염경로 : 일본뇌염은 모기가 뇌염바이러스를 가지고 있는 돼지, 소, 말 등과 같은 동물의 피를 빨고 난 후 일정한 기간이 지난 다음에 사람의 피를 빨 때 바이러스 균이 옮겨져 감염
증상 : 두통, 발열, 구토 및 설사 등 소화기 증상이 나타나며, 병이 진행되면 의식장애, 고열, 혼수 마비를 일으키고 언어장애, 사지운동 저하 등 후유증이 있음
예방수칙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환경개선 및 야간 옥외활동 자제
장티프스
열병이라 불리는 질병으로 연중 언제나 발병할 수 있는 감염병입니다. 특히, 여름철에 발생 빈도가 높으며 보균자의 경우 자신은 아무 이상이 없으면서 균을 계속 배설하기 때문에 병원균의 감염원 색출이 어렵습니다.
원인균 : 살모넬라균
감염경로 : 환자와 보균자의 대소변에 오염된 음식물과 물을 먹었을 때 주로 감염
증상 : 두통, 전신 쇠약 등을 일으키며 홍역보다 증세는 가볍고 비교적 짧은 기간 내에 소실합니다. 열이 단계적으로 상승하다 머물고 다시 계속되는 특이한 열병으로 서맥, 장미진, 비장의 종대, 변비가 생기며 때로는 설사 및 장에 가스가 찰 때도 있습니다.
예방수칙
물, 우유 및 유제품, 어패류를 위생적으로 관리 및 섭취
화장실 사용 및 청소 깨끗이 하고, 손 씻기 철저
병원체 보균자는 식품을 취급 제한
동남아 등 유행 지역 여행자나 집단급식소, 식품위생업소 종사자는 사전에 예방접종 하기
비브리오 패혈증
비브리오패혈증을 일으키는 균은 바다에서 서식하는 어류와 어패류 그리고 바닷물 속에 생존합니다. 그러므로 생선, 조개, 굴 등을 날로 먹거나 피부에 상처가 있는 사람이 바닷물에 들어가면 감염될 수 있습니다. 바닷물 온도가 17C 이상 올라가는 6~10월에는 특히 주의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