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바로가기
영월군청
영월관광
영월군의회
홈
로그인
언어선택
English
Japanese
Chinese
통합검색
열기
통합검색
통합검색
검색 분야를 선택하세요
통합검색
영월소식
문화관광
직원/업무
메뉴검색
게시판
웹페이지
첨부파일
검색어를 입력하세요
검색 닫기
전체메뉴
보건소
전체메뉴
주메뉴
보건소 소개
인사말
조직도
직원 및 담당업무
층별안내
찾아오시는 길
진료안내
진료안내
검사안내
건강검진
소식/민원
새소식
제증명발급 안내
민원서식
진료내역조회(e보건소)
보건서비스
건강증진
영양사업
금연사업
심뇌혈관질환예방관리
모바일헬스케어
건강생활실천사업
모자보건
감염병관리
감염병정보
방역소독
방문건강관리
국가암관리
국가암 조기검진
암환자 의료비지원
희귀질환자 의료비지원
노인보건
안질환 수술 의료지원
무릎관절증 의료지원
요실금 치료 지원
치매예방
구강보건
정신건강
예방접종
어린이 예방접종안내
성인 예방접종안내
예방접종 주의사항
B형간염 주산기감염 예방사업
관내의료기관
의료기관
약국
휴일·심야시간 운영약국
안전상비의약품판매업소
정보마당
병원평가정보
주메뉴 닫기
변화와 도약,
살기좋은영월
변화와 도약, 살기좋은영월
영월군 보건소
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보건서비스
건강증진
영양사업
금연사업
심뇌혈관질환예방관리
모바일헬스케어
건강생활실천사업
모자보건
감염병관리
감염병정보
방역소독
방문건강관리
국가암관리
국가암 조기검진
암환자 의료비지원
희귀질환자 의료비지원
노인보건
안질환 수술 의료지원
무릎관절증 의료지원
요실금 치료 지원
치매예방
구강보건
정신건강
예방접종
어린이 예방접종안내
성인 예방접종안내
예방접종 주의사항
B형간염 주산기감염 예방사업
가을
Home
보건서비스
감염병관리
감염병정보
계절별 감염병
가을
결핵
에이즈(AIDS)
성매개감염병
계절별 감염병
봄
여름
가을
겨울
유행성출혈열
유행성출혈열은 한타바이러스 등에 의해 전파되는 감염병으로 들쥐나 집쥐에 있는 바이러스가 사람의 호흡기를 통해서 전파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비교적 강우량이 적은 건조기에 군인, 캠핑, 등산, 낚시를 즐기는 사람 등 주로 야외 생활자에게 많이 발병
원인균 : 한타바이러스
감염경로 : 들쥐 배설물에 의한 바이러스가 공기 중 호흡기를 통해 감염
증상 : 발열, 요통, 출혈, 신부전
예방수칙
유행지역의 산, 풀밭에 가는 것을 피하고 잔디 위에 눕거나 자지 않기
들쥐 서식처인 집 주위 잡초를 제거하고 들쥐 배설물에 접촉 금지
야외 생활이 많은 사람은 예방접종 하기
렙토스피라증
일종의 급성 전신성 열성 감염증으로 동물에 있던 렙토스피라(Leptospira)가 사람에게 전파되어 생기는 혈관염이 특징인 질환으로 특히 9~10월에 농촌지역에서 주로 많이 발생하는 감염병
원인균 : 렙토스피라균
감염경로 : 감염된 동물(주로 쥐)의 배설물에 오염된 물이나 진흙에 접촉된 상처 부위를 통하여 감염
증상 : 고열, 두통, 복통, 근육통, 오한, 눈의 충혈, 각혈
예방수칙
작업 시 손발 등에 상처가 있는지를 확인하고 반드시 장화, 장갑 등 보호구를 착용
가능한 농경지의 고인 물에는 손발을 담그지 않도록 주의
들쥐, 집쥐 등 질병 매개 동물을 없애도록 노력
쯔쯔가무시병
리켓치아 쯔쯔가무시에 의해서 발생하는 감염병으로 털 진드기의 유충이 사람을 물어서 걸리게 되며, 감염 후 보통 10일 정도의 잠복기를 거친 후에 급성으로 발생하는 가을철 열성 감염병
원인균 : 리켓치아 쯔쯔가무시균
감염경로 : 관목 숲이나 들쥐에 기생하는 진드기의 유충이 사람을 물어 감염, 잠복기는 9~11일
증상 : 피부발진, 진드기, 물린 상처, 두통, 열
예방수칙
유행지역의 방문 제한
들쥐와의 접촉을 피하며 집 주위에 들쥐의 서식처인 잡초를 제거
밭에서 일할 때는 되도록 긴 옷을 입고, 야외 활동 후 귀가 시에는 옷 세탁 및 목욕하기
피부의 노출을 적게 하고 벌레 물린 상처가 있으면 즉시 치료를 후 보건소에 신고하기.
발진열
급성 열성 감염병으로 감염된 쥐벼룩에 의해서 전파. 일반적으로 증세가 가볍고 사망하는 예가 거의 없으며, 계절적으로는 가을철에 많고 산발적으로 발생. 주로 쥐의 서식이 많은 지역(농촌 곡물창고 등)에서 발병
원인균 : 발진열 리켓치아
감염경로 : 쥐벼룩에 의해 매개, 쥐벼룩에 물리거나 감염된 벼룩의 배설물을 흡입했을 때 발생
증상 : 두통, 근육통, 발열(38.5~40C)
예방수칙
쥐벼룩에 물리지 말아야 하며, 쥐와 접촉 금지
환자로부터 직접 전파되는 일은 없으므로, 환자의 격리나 소독은 필요 없음
담당부서 정보
최종수정일 :
2025.07.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