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바로가기

변화와 도약, 살기좋은영월

변화와 도약, 살기좋은영월영월군 보건소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가을

Home 보건서비스 감염병관리 감염병정보 계절별 감염병 가을

유행성출혈열

  • 유행성출혈열은 한타바이러스 등에 의해 전파되는 감염병으로 들쥐나 집쥐에 있는 바이러스가 사람의 호흡기를 통해서 전파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비교적 강우량이 적은 건조기에 군인, 캠핑, 등산, 낚시를 즐기는 사람 등 주로 야외 생활자에게 많이 발병
  • 원인균 : 한타바이러스
  • 감염경로 : 들쥐 배설물에 의한 바이러스가 공기 중 호흡기를 통해 감염
  • 증상 : 발열, 요통, 출혈, 신부전
  • 예방수칙
    • 유행지역의 산, 풀밭에 가는 것을 피하고 잔디 위에 눕거나 자지 않기
    • 들쥐 서식처인 집 주위 잡초를 제거하고 들쥐 배설물에 접촉 금지
    • 야외 생활이 많은 사람은 예방접종 하기

렙토스피라증

  • 일종의 급성 전신성 열성 감염증으로 동물에 있던 렙토스피라(Leptospira)가 사람에게 전파되어 생기는 혈관염이 특징인 질환으로 특히 9~10월에 농촌지역에서 주로 많이 발생하는 감염병
  • 원인균 : 렙토스피라균
  • 감염경로 : 감염된 동물(주로 쥐)의 배설물에 오염된 물이나 진흙에 접촉된 상처 부위를 통하여 감염
  • 증상 : 고열, 두통, 복통, 근육통, 오한, 눈의 충혈, 각혈
  • 예방수칙
    • 작업 시 손발 등에 상처가 있는지를 확인하고 반드시 장화, 장갑 등 보호구를 착용
    • 가능한 농경지의 고인 물에는 손발을 담그지 않도록 주의
    • 들쥐, 집쥐 등 질병 매개 동물을 없애도록 노력

쯔쯔가무시병

  • 리켓치아 쯔쯔가무시에 의해서 발생하는 감염병으로 털 진드기의 유충이 사람을 물어서 걸리게 되며, 감염 후 보통 10일 정도의 잠복기를 거친 후에 급성으로 발생하는 가을철 열성 감염병
  • 원인균 : 리켓치아 쯔쯔가무시균
  • 감염경로 : 관목 숲이나 들쥐에 기생하는 진드기의 유충이 사람을 물어 감염, 잠복기는 9~11일
  • 증상 : 피부발진, 진드기, 물린 상처, 두통, 열
  • 예방수칙
    • 유행지역의 방문 제한
    • 들쥐와의 접촉을 피하며 집 주위에 들쥐의 서식처인 잡초를 제거
    • 밭에서 일할 때는 되도록 긴 옷을 입고, 야외 활동 후 귀가 시에는 옷 세탁 및 목욕하기
    • 피부의 노출을 적게 하고 벌레 물린 상처가 있으면 즉시 치료를 후 보건소에 신고하기.

발진열

  • 급성 열성 감염병으로 감염된 쥐벼룩에 의해서 전파. 일반적으로 증세가 가볍고 사망하는 예가 거의 없으며, 계절적으로는 가을철에 많고 산발적으로 발생. 주로 쥐의 서식이 많은 지역(농촌 곡물창고 등)에서 발병
  • 원인균 : 발진열 리켓치아
  • 감염경로 : 쥐벼룩에 의해 매개, 쥐벼룩에 물리거나 감염된 벼룩의 배설물을 흡입했을 때 발생
  • 증상 : 두통, 근육통, 발열(38.5~40C)
  • 예방수칙
    • 쥐벼룩에 물리지 말아야 하며, 쥐와 접촉 금지
    • 환자로부터 직접 전파되는 일은 없으므로, 환자의 격리나 소독은 필요 없음

담당부서 정보

최종수정일 : 2025.07.22